
비만, 항암, 유전자 치료 및 기타 분야에서 환자 치료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발전사항에 대해 다뤄
(2025년 1월 8일, 런던) 혁신적인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글로벌 기업 클래리베이트(NYSE: CLVT)가 헬스케어의 미래를 재정의할 치료제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연례보고서인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5년이내에 블록버스터 위치에 오르거나 치료 패러다임을 혁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11가지 의약품을 집중 조명한다. 클래리베이트의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보고서는 발간 이래 98개의 혁신적인 치료제를 식별했으며 진화하고 있는 생명과학 산업을 탐색하는 데 필수적인 리소스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Cortellis Intelligence 제품군의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최근 출시되었거나 2025년에 출시될 예정인 11가지 치료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비만, 항암, 유전자 치료와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는 이 의약품들은 2030년까지 블록버스터 매출을 달성하거나, 전 세계적으로 환자 치료 결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또한 비만 치료제에 대한 수요 급증, 유전자 편집의 혁신적 잠재력, 규제 혁신의 영향력 확대 등… 생명과학 산업의 주요 트렌드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중국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국의 만성 질환 시장에 대한 심층 분석, 중국에서 향후 5년 동안 연간 매출이 10억달러를 초과하거나 환자에게 혁신적인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5가지 치료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외에도 규제 발전, 항암에서의 방사성 의약품 치료제의 역할, 건강 형평성을 높이고 규제 제출을 강화하기 위한 RWD 및 환자 보고 결과(PRO)의 사용 증가 등… 글로벌 의료를 형성하는 중요한 주제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클래리베이트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부문 Henry Levy 사장은 ” 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은 전례 없이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으며, 올해의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 보고서는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하고 기존 치료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치료법을 제공하는 생명과학 산업의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라며 “클래리베이트는 예측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보고서에서는 13개의 의약품을 다뤘는데 이중 12개는 이미 승인 및 출시되었고 1개는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는 클래리베이트의 종합적인 데이터와 심층적인 전문 지식의 강점을 보여줍니다. 저희는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약바이오 업계가 기회를 탐색하고 도전을 극복하며 글로벌 보건 발전에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클래리베이트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사업부문 Mike Ward 사고리더십 총책임자는 “2025년은 신약 발견과 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AI와 머신러닝과 같은 첨단 기술을 수용하는 생명과학 분야의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라면서 “올해의 보고서는 정밀 항암제의 획기적인 발전, 방사성 의약품의 부상, 글로벌 건강 불균형 해소에 대한 관심 증가 등… 업계를 이끄는 주요 동인을 다루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2025년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는 생명과학 분야의 판도를 변화시키는 주요 트렌드를 집중 조명하며, 새로운 기술과 치료법 혁신이 미치는 혁신적인 변화를 강조한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발전은 신약개발, 임상시험, RWD통합을 간소화해 정밀 의학 접근법을 가능케한다. 비만 시장은 차세대 GLP-1 치료제가 주도하는 혁신적인 변화를 겪고 있으며 방사성 의약품 치료제는 “보면서 치료하는” 패러다임으로 항암 치료를 재정의 하고 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개인 맞춤형 의학의 새로운 기회를 열어가고 있으며, 진화하는 규제 프레임워크는 환자가 보고한 결과(PRO)와 건강 형평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들은 이 분야의 회복력과 도전 과제를 극복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자 치료 향상을 위한 혁신을 주도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올해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의료 생태계에서 환자 치료를 발전시키기 위한 혁신과 헌신의 융합을 잘 보여주는 데, 이번 보고서에서 집중 조명한 의약품은 다음과 같다.
AWIQLI® (LAI 287; 인슐린 아이코덱)- 개발사: Novo Nordisk |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최초의 주 1회 피하 주사형 인슐린인 AWIQLI®는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 중국 및 일본에서 출시되었다. 주1회 투여하면 되기 때문에 매일 기저 인슐린을 투여하는 기존 치료제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해 제1형(T1DM) 또는 제2형 당뇨병(T2DM) 환자의 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
CagriSema (카그릴린티드 + 세마글루타이드) – 개발사: Novo Nordisk |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인 카그릴린티드와 세마글루타이드가 결합된 CagriSema는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에서 세마글루타이드(OZEMPIC/WEGOVY®)와 티르제파티드(MOUNJARO/ZEPBOUND®) 대비 우수한 효능을 보인다. 이 차세대 GLP-1 치료제는 인슐린 분비 촉진 및 식욕 감소와 같은 GLP-1의 이점을 활용하면서 포도당 흡수 및 방출을 늦추는 등 아밀린의 효과를 통합한 약물이다. CagriSema 가 승인되면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아밀린과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첫 고정 용량 복합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COBENFY™ (KarXT; 자노멜린–트로스피움) – 개발사: Bristol Myers Squibb | 조현병 및 알츠하이머병 관련 정신병
조현병 치료제의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COBENFY™가 승인된 것은, 30년만에 조현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작용 기전을 첫번째 약물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자노멜린과 트로스피움이 결합된 COBENFY는 콜린성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도파민 경로가 아닌 M1 및 M4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으로 삼는다. 알츠하이머병 관련 정신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알츠하이머병 관련 환각 및 망상 치료에 효과가 입증된다면 COBENFY는 강력한 상업적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EBGLYSS™ (레브리키주맙)- 개발사: Eli Lilly 및Almirall | 아토피 피부염
IL-13을 표적으로 하는 세 번째 아토피 피부염 생물학적 제제인 EBGLYSS™는 DUPIXENT® (두필루맙)와 ADBRY®/ADTRALZA® (트랄로키누맙)에 이어 시장에 출시되었다. 투약 빈도가 낮고 선택적으로 IL-13을 억제하며 강력한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부적절한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1차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Fitusiran – 개발사: Alnylam® Pharmaceuticals 및 Sanofi | A형 및 B형 혈우병
Fitusiran은 억제제 유무에 관계없이 혈우병 A형과 B형 모두에 대해 3상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우병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siRNA(소간섭 RNA) 치료법은 SerpinPC1 mRNA를 억제해 항트롬빈 수치를 낮추고 트롬빈 생성을 촉진하며 지혈의 균형을 재조정해 출혈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Alnylam® Pharmaceuticals의 ESC-GalNAc 접합체 기술을 활용한 Fitusiran은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이중 가닥 RNA분자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항트롬빈 저하 치료제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GSK-3536819 (MenABCWY)- 개발사: GSK | 수막구균
GSK의 GSK-3536819백신 후보물질은 1세대 5가 백신으로 전 세계 대부분의 침습성 수막구균성 질환(IMD)을 일으키는 5개의 혈청군 (A, B, C, W, Y)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백신은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립된 GSK의 허가된 수막구균 백신인 BEXSERO(MenB)와 MENVEO(MenACWY)의 항원 성분을 결합한 백신으로, 두 백신 모두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립되어 있다.
IMDELLTRA™ (탈라타맙-dlle) – 개발사: Amgen | 소세포폐암(SCLC)
IMDELLTRA™는 광범위 단계 소세포폐암(ES-SCLC)을 위한 최초의 면역치료제다. Amgen의 이중특이적 T세포 결합체(BiTE®) 분자를 사용해 T세포의 CD3 와 종양 세포의 델타 유사 리간드 3(DLL3)를 표적으로 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고 용해할 수 있도록 한다. DLL3는 소세포폐암 환자의 85%에서 암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단백질이지만 건강한 세포에서는 최소한으로만 발현되기 때문에 매력적인 표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런 기전으로 인해 IMDELLTRA는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있는 ES-SCLC의 잠재적 표준 치료제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mRESVIA (mRNA-1345) – 개발사: Moderna | RSV
2024년 5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mRESVIA®는 현재 60세 이상 성인에게 사용 가능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백신으로 2024년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에 이름을 올린 AREXVY와 ABRYSVO와 더불어 RSV 관련 질병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공중 보건 이니셔티브를 지원한다. RSV감염에 대한 백신이 존재함에도 이 질환은 특히, 영유아와 고령자(65세 이상)의 공중 보건 문제로 계속 대두되고 있다.
SEL-212 – 개발사: Sobi® 및 Cartesian Therapeutics 및 Selecta Biosciences Inc | 통품
SEL-212는 페길화 요산분해효소(페가드리카제, SEL-037)와 항약물 항체(ADA) 형성을 억제하도록 설계된 면역 내성 기술인 ImmTOR™를 결합한 월 1회 투여하는 새로운 치료제로서, 요산분해효소(페가드리카제)와 면역 내성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약물이다. ImmTOR는 요산분해효소 특이적 ADA 억제제인 SEL-110.36으로 구성된다. 이 접근법은 만성 통풍 환자에서 KRYSTEXXA®(페글로티카제)와 같은 다른 생물학적 치료법에서 나타나는 효능 및 내약성 감소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Vepdegestrant (ARV-471) – 개발사 Arvinas 및 Pfizer | 유방암
Arvinas와Pfizer의 글로벌 합작품인vepdegestrant는 시판 중인 최초의 단백질 분해 표적 키메라(PROTAC®) 단백질 분해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R)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분해하도록 설계된 초기 연구에 따르면 PROTAC에 의한 분해가 경구용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SERDs)보다 더 완전하다고 한다. 이는 유방암의 내분비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IBRANCE® (팔보시클립)와의 병용을 포함한 라벨 확장을 모색 중이다.
Zanzalintinib (XL092) –개발사: Exelixis | 대장암, 신세포암 및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Zanzalintinib은 종양 성장과 면역 억제에 관여하는 VEGF 수용체, MET 및 TAM 키나아제를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경구용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다. 현재 비투명세포형 신세포암(nccRCC), 대장암(CRC) 및 두경부 편평세포암(SCCHN)에 대한 3상 임상시험이 진행중이며 이르면 2026년부터 매년 하나의 Zanzalintinib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Zanzalintinib은 CABOMETYX® (카보잔티닙)와 비교했을 때 비투명세포형 신세포암 치료에 대해 승인을 받은 것뿐 아니라, 보다 넓은 환자군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025년 블록버스터 신약보고서를 확인하려면 이곳을 누르면 된다.
연중 블록버스터 신약에 대한 업데이트 및 분석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면 블록버스터신약(Drugs to Watch)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클래리베이트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사업부 링크드인이나 X를 팔로우 하면 된다. (해시태그 #DrugstoWatch2025).
클래리베이트가 생명과학회사들이 신약을 발굴, 개발 및 전달 프로세스를 알리고 구체화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 자세히 알아보려면 이곳을 누르면 된다.
###
클래리베이트 2025년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 (Drugs to Watch 2025 Report)의 방법론
클래리베이트는 2025년 블록버스터 보고서에서 다룰 의약품을 선정하기 위해 수백가지의 질병, 약물 및 시장을 다루는 160명 이상의 애널리스트의 전문 지식과 R&D 및 상용화 수명주기를 아우르는 11개의 통합 데이터 세트를 활용했습니다. 이 데이터 세트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Cortellis Competitive Intelligence™, Disease Landscape & Forecast, Epidemiology Intelligence, BioWorld™, Cortellis Regulatory Intelligence™, Drug Timeline & Success Rates, Cortellis Clinical Trials Intelligence™, Cortellis Deals Intelligence™, Access & Reimbursement payer studies, Clarivate Real-World Data and Analytics, Web of Science™, Derwent Innovation™ 및 다른 산업 출처를 활용했는데, 여기에는 바이오텍 제약 회사의 보도자료, 공시, 피어리뷰를 거친 학술 논문 등이 포함했습니다. 또한, 분석을 위해 2상 또는 3상 시험에 있는 후보 약물, 등록 전 또는 등록 단계에 있는 약물, 또는 2024년에 이미 출시된 약물을 선정했으며, 새로운 치료법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적응증을 추구하는 기존의 출시된 약물도 포함되었다. 하지만, 2024년 이전에 출시된 약물은 제외시켰습니다. 데이터 세트는 2030년까지 총 예상 매출이 10억 달러 이상인 약물로 필터링했습니다. 클래리베이트의 전문가들과 분석가들은 각 의약품의 승인 또는 출시 예정일, 경쟁 환경, 규제 상태, 시험 결과, 시장 역학 및 기타 주요 요소와 같은 기준을 바탕으로 개별적으로 평가했으며, 블록버스터 의약품에는 미치지 않지만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의약품도 추가시켰습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스트들은 2024년 12월 31일 이전에 이 보고서에 표시된 데이터를 생성했습니다. 2025년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 및 보고서 내에서 언급된 치료제들은 기존 데이터에 따른 클래리베이트의 현재 기대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클래리베이트는 의약품, 기기 및 의료 기술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고객을 포괄적으로 지원하여 인류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환자 여정 데이터, 치료 분야 전문 지식, 인공 지능 및 분석을 결합하여 숨겨진 인사이트,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혁신을 가속화하는 방식으로 클래리베이트의 엔드투엔드 연구 인텔리전스는 고객이 정보에 입각한 근거 기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클래리베이트 소개
클래리베이트는 혁신적인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글로벌 기업입니다. 클래리베이트는 학계 및 정부, 지식 재산권, 생명 과학 및 의료 분야에서 풍부한 데이터, 인사이트 및 분석, 워크플로 솔루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www.clarivate.com 또는 www.clarivate.com/ko 에서 확인하세요.